-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76)
hye-lo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yotSQ/btrtpQawA9w/682GSO2WGVNKPBodf82uLk/img.png)
자료의 저장이나 검색을 빠르게 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 방법을 생각하는 것은 중요하다. array는 데이터를 나열하는 방법 중에 하나이다. 첫 번째 규칙, 처음과 끝에 대괄호([])를 사용 두 번째 규칙, array 안 항목들은 쉼표(,)로 분리 세 번째 규칙, array 안 항목들은 number, string, boolean, null, undefined 등 어떤 것도 상관 없음 console.log()를 이용해서 array를 출력하면 array의 개수와 함께 항목이 출력된다. array 안의 데이터에 접근하고 싶다면 variable의 이름을 적어주고 대괄호([]) 안에 우리가 얻고 싶은 항목의 번호를 넣는다. 컴퓨터는 0부터 센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array 안에 항목 하나를 추가하고 싶다면 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Hx3M/btrtoAr8xV2/syQKVDNCJyTHMVvaStFlpK/img.png)
컴퓨터는 0(off)와 1(on)으로 표현할 수 있다. JavaScript에서는 true와 false로 나타낼 수 있는 자료형을 boolean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로그인을 했는지 궁금할 때 true/false로 나타낼 수 있다. null, undefined 개념도 있다. null은 아무것도 없음을 의미하며, 이것은 false와는 다르다. undefined는 정의되지 않음을 의미하며, variable를 정의하여 메모리를 차지하지만 값이 없는 상태이다. #1 에서 amIFat은 true도 false도 아닌 아무것도 없는 null을 가지고 있다. #2 에서 something은 variable은 정의했지만 값을 정의하지 않았으므로 값이 없는 상태이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UCAUM/btrtlolzBNa/gqYl5A3oSw2PkJ7AsnbRD0/img.png)
const(상수)는 값이 바뀔 수 없는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한다. 하지만 값을 바꾸는 게 필요할 수도 있다. let으로 변수를 선언하면 나중에 변수명만 가지고 값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myName을 let으로 선언했기 때문에 #11 에서 값을 바꿀 수 있다. 하지만 a는 const로 선언했기 때문에 #14 에서 값을 바꾸면 const의 값을 바꿀 수 없다는 TypeError가 발생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변수를 선언할 때에는 const를 사용하고, 변수를 업데이트할 필요가 있으면 let을 사용하여 선언한다. 과거에는 var을 이용하여 변수를 선언했는데, 값이 바뀐 것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되도록 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6W5Wk/btrtlVifcH0/KPgHXkC3BHGuWoY8q8iKFk/img.png)
console.log() 함수는 괄호 안에 있는 숫자나 문자를 console 창에 출력한다. 우리는 계산기를 만들건데 계산기마다 값을 바꾸는 일을 하는 것은 귀찮은 일이다. variable(변수)는 값을 저장하거나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vairable을 정의할 때에는 주로 const와 함께 사용하는데, const(상수)는 바뀌지 않고 계속 유지되는 값을 의미한다. 변수의 이름에 띄어쓰기가 필요하다면 JavaScript에서는 camelCase 방법을 사용하여 단어를 구분할 때마다 대문자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서 myname을 camelCase 방법으로 작성하면 myName으로 정의할 수 있다. (파이썬에서는 snake_Case 방법으로 작성하는데 예를 들어 my_name 식으로 표현한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2hka/btrtjQhENrR/zT4fQyqjtLmeE6cJDCkfr1/img.png)
JavaScript에서는 크게 두 가지 자료형을 다룬다. 첫 번째로, 숫자(number)이다. 숫자는 정수형인 integer와 부동 소수점형인 float가 있다. console에 2+2 만 입력해도 JavaScript가 숫자를 인식하고 계산해야 하는 것을 알고 결과값을 출력해준다. 두 번째로, 문자(text)이다. string은 작은따옴표(')나 큰따옴표(")를 사용하여 처음부터 끝까지 문자로 구성된 형식이다. 따옴표를 쓰지 않으면 JavaScript는 이해하지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