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목록Boostcourse (94)
hye-log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9MBMV/btrXPrLWDC0/1ygxVhF2oieQ010Ov4UVR0/img.png)
🎨 오늘의 회고 최종 프로젝트를 위해 리액트 강의를 듣는 중..+_+... 다행히도 졸업 작품할 때 프론트 쪽 자바스크립트를 공부했어서 언어에 대한 부담감은 없는데 이걸 해낼 수 있을지 모르겠ㄴㅔ... 사실상 일주일만에 리액트 공부 + 실제 서비스 개발까지.. 우왕... 분명 AI 엔지니어로 성장하는데 갑자기 풀스택 엔지니어(이거 맞나..?) 그래도 막상 배우니까 재미있는거 같따... 리액트가 왜 반응형 프론트에 적합한지, 왜 다들 프론트로 리액트를 쓰려는지 이해가 조금 가고 이거 좀 더 배워서 나의 웹 페이지도 만들 수 있을거 같고 그래.... 파이팅.. (나 미적 감각 있었었나...머쓱)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Ag0s/btrXyiX4IM4/1ThXr4MbDLX9vpFLKvwfNk/img.png)
🔮 오늘의 회고 오전에는 멘토링으로 시작.. 최종 프로젝트 관련해서 멘토님의 조언을 들을 수 있었는데 전반적으로 프로젝트에 대해서 목적이랑 설계가 부족함이 느껴졌다.. 여러 가지 조언을 해주셨는데 어려운 문제를 쉽게 만들어서 풀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씀해주셨다. 단순히 어려운 문제의 해결 방법을 찾을 때 문제를 쉽게 만드는 것이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리고 이것을 왜 해야 하는지 이유를 찾으면 해결방법을 좀 더 쉽게 찾을 수 있다. 프로젝트에 대한 설계를 보시면서 왜 해야 하는지 이유가 없으면 over engineering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하라고 조언해주셨다. 모델의 mIoU 성능이 0.4~0.5 정도가 나오는데 수치적으로 봤을 때에는 부족한 모델이라고 생각한다. 이렇게 성능이 애매하면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DsNMb/btrXD8sixqg/1W6oWPOak1cBaIww30weSK/img.jpg)
🔮 오늘의 회고 모델 돌려보는 걸로 하루를 시작.. validation 데이터가 너무 많아서 inference 하는데 시간이 걸리길래 validation 데이터셋을 줄여보려고 하고 있었다.. 프로젝트에서 프론트 쪽도 필요해서 이것저것 찾아보고 공부해보고... 오후에 이활석 마스터님께서 프로젝트 중간 피드백하는 시간을 가졌는데, 질문 중에서 '뻔한 주제지만 완성도 높은 프로젝트 vs. 신선한 주제지만 완성도는 낮은 프로젝트' 중에서 어떤 프로젝트가 더 끌리냐는 질문이 있었다. 결과는 뭐... 신선한 주제면서 완성도 높은 프로젝트가 좋다고 말씀하셨는데, 맞는 말인거 같긴 하다.. 아무래도 수많은 지원자 중에서 신선한 주제가 있으면 먼저 눈에 띌 거고, 그런데 완성도도 높다? 그렇다면 포트폴리오로 완벽한 주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J1m08/btrW6runxpI/JeAzm7FXK3pFMmx3bvZva0/img.png)
🔮 오늘의 회고 오늘부터는 최종 프로젝트 마무리 기간..(!!) 부캠 남은 날이 20여 일이라고 하니까 좋기도 하고 아쉽기도 하고 취업 걱정도 되고 싱숭생숭하다... 모델 돌려보는거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지난 주 서비스 배포 강의 중에서 다시 들을 부분이 있어서 다시 듣고 공부해보고, 오늘까지가 취업 관련 설문 제출하는 날이라서 여러 기업들에서 어떤 포지션을 뽑는지, 어떤 직무를 원하는지 보고 네트워킹 할 기업들을 선택해보았다... 분명 부캠에 합격하는 게 목표였는데 어느 순간 취업이 목표로 바뀌면서 매 순간 새로운 목표를 향해 가는거 같다... 내일도 파이팅!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YKmtC/btrWqpXnl50/uoyUvhpIoek3pevmlUIFk0/img.png)
🧸 개별학습 [3-2] Docker 1. Docker 소개 1) 가상화란? (1) 일반적으로 local 환경에서 개발 -> 완료되면 staging 서버 -> production 서버에 배포함 (2) 개발한 local 환경과 production 환경이 다른 경우(OS가 다른 경우) -> 라이브러리나 파이썬 등의 설치가 다름 (3) 같은 OS를 사용해도 -> 서버에서는 올바르게 작동하지 않을 수도 있음 (4) 다양한 설정을 README 등에 기록하고, 항상 실행하도록 하는 방법 -> Human Error, 귀찮음 (5) 운영하고 있는 server가 많은 경우 -> 모든 서버에 업데이트가 필요 (6) 서버 환경까지 모두 한 번에 소프트웨어화 하는 것 (마치 밀키트처럼...) (7) 가상화 : 특정 소프트웨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