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fka]헷갈리는 토픽(topic), 이벤트(event), 파티션(partition), 컨슈머(consumer) 정리하기 - 택배 물류 창고로 비유하기
·
Infra/Kafka
카프카는 토픽을 기준으로 이벤트를 저장하고 전달하는데,토픽은 여러 파티션으로 나뉘어져 있어서 여러 컨슈머가 병렬로 읽을 수 있어 처리 속도가 빨라! 카프카는 이벤트를 안전하게 전달해서 여러 서비스가 구독하여 처리하게 해줘. 여기서 이벤트를 분류하고 저장하는 단위를 토픽이라고 하는데, 물리적으로 여러 파티션에 나뉘어 저장할 수 있어서 병렬 처리가 가능해. 토픽에 담긴 개별 메시지를 이벤트라고 불러. 카프카의 주요 개념인 토픽, 이벤트, 파티션을 택배에 비유해보자. 모든 택배가 모이는 물류창고가 있을거야. 이 물류창고에는 여러 컨베이어 벨트가 있고, 이 컨베이어 벨트로 여러 택배 상자들이 있어. 여기서 물류창고 = 토픽, 컨베이어 벨트 = 파티션, 택배 상자 = 이벤트로 비유할 수 있어. 만약 전국의 택배를..